2011년 9월 29일 목요일

BC 주민 가장 오래 산다


캐나다 평균 80.9세보다 높다

캐나다인 평균 수명이 해마다 늘어나는 가운데 BC지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캐나다 전체 평균 수명이 80.9세라고 발표했다. 수집된 자료는 2006-2008년. 이전 조사 자료인 2005-2007년 보다는 0.2%가 증가했다. 특히 BC지역은 81.4세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온타리오가 81.3세, 퀘벡이 81세로 모두 캐나다 평균보다 높다. 반면 평균 수명이 낮은 3곳의 경우엔 모두 합쳐 75.2세로 계산됐다.

평균 수명은 현재 65세인 연령층을 기준, 지난 수 년간 상승세다. 2006-2008년 65세의 평균 수명은 20세로 기록됐다.  2005-2007년과 비교할 때 0.2%가 늘어났다.

성별 구분을 보면, 남자가 여성 보다 평균 수명이 낮다. 지난 10년간 남녀간 평균 수명 차이는 조금 줄어들었다. 예를 들어 1996-1998년 사이, 출생 당시 남녀간 평균 수명 차이는 5.6년이지만 2006-2008년에는 4.6년으로 1년 정도 짧아졌다.

2008년엔 23만 8617명이 캐나다에서 사망, 2007년보다 1.4%가 증가했다. 하지만 1년 전에 기록된 전년대비 3.1%보다는 낮았다. 2007-2008년 남성과 여성의 사망률은 모두 증가했다. 하지만 남성이 1.5%로 여성 1.4%보다 조금 높았다.

BC주와 온타리오는 가장 낮은 사망률을 기록, 1000명을 기준으로 5.1%였다. 유콘은 8.1%, 캐나다 북서쪽 지역은 7.7%로 가장 높았다. 2008년 기준 유아 사망률은 1000명 기준 5.1%다.  

전국 광역 도시 집값 2005년 6월 이후 46.51% 상승


주택재판매 가격지수 8개월째 상승
6개 광역 도시…전월대비 1.3%올라

캐나 주요 광역 도시의 주택 재판매 가격이 2005년 6월 이후 46.51% 증가했다. 또 주택 가격 지수는 8개월 연속, 월간대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테라네트(Teranet) 내셔널 뱅크 집값 지수는 2011년 9월 보고서를 통해 캐나다 전역 광역도시의 7월 가격종합지수(National Composite)가 146.51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2005년 6월이 기준(100)이다. 즉  6년 동안 주택 가격이 46.51% 상승했다는 의미가 된다. 글로벌 경제 위기가 두드러졌던 지난 2008, 2009년 국내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에도 불구, 집값은 상승세는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테라네트 집값 지수는 밴쿠버와 토론토 캘거리 핼리팩스 몬트리올 오타와 등 전국 6개 광역 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가격 지수만 보더라도 연간 및 월간 가격 상승폭을 폭을 알기 쉽다. 특히 여기에는 최소한 2회 이상 판매된 주택의 가격들이 반영돼 있다.

조사 결과 캐나다 집값 지수는 146.51로 나타났다. 전월대비 1.3%가 올랐다. 1% 이상 오른 것은 4개월 연속이다. 집값 지수 146.51는 2005년 6월 이후 주택 가격이 46.51% 상승했다는 의미다.

광역 도시별로 보면 캘거리가 2.3%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토론토가 1.7%, 오타와가 1%, 밴쿠버가 0.9%, 몬트리올이 0.5% 순이다. 반면 핼리팩스는 오히려 0.9%가 줄었다. 특히 밴쿠버의 경우에는 10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6개 광역 도시 가운데 가장 오래됐다. 또 캘거리를 제외한 다른 광역 도시들의 가격 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캘거리의 경우엔 역대 최고였던 2007년 8월보다 8.8% 떨어졌다. 또 2010년 8월보다는 0.9% 낮다.

지난 1년간 캐나다 광역 도시 주택 재판매 가격 지수 상승폭은 5.3%를 기록했다. 광역 도시별로 보면, 밴쿠버가 8.5%로 가장 높다. 다음은 몬트리올 6%, 토론토 4.8%, 오타와 4.1%, 핼리팩스 3.3% 등의 순이다. 캘거리는 1년 전보다도 0.9% 떨어졌다. 12개월 가운데 10개월이 하락세다. 밴쿠버는 4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캐나다 부동산협회(CREA) 데이터로 계절적 요인을 반영하면, 전체 시장은 균형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토론토 지역에서는 시장 지배층이 비 주거지 구매자들이어서 긴축된 모습을 보인다.

“또 하나의 성공적인 박람회”


에이팩스 밴쿠버 투자 및 부동산 종합박람회 성료


제2차 에이팩스 밴쿠버 투자 및 부동산 종합 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 성황리에 그 막을 내렸다.

현재 밴쿠버 마켓에서 가장 큰 구매력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아시아인들인 만큼 한국인과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밴쿠버 유일의 대형 투자 및 부동산 종합 박람회인 에이팩스 밴쿠버 2011은 시작 전부터 많은 사람들의 기대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에이팩스 밴쿠버는 올해가 두번째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약 60여개의 회사가 전시 참가하였으다. 오전 10시부터 시작하여 폐장 시간인 오후 6시까지 약 3천명 이상의 사람들이 각종 부동산과 투자에 대한 정보들을 얻으러 방문하였고 현장에서 직접 다수의 매물이 거래되어 전시 참가 없체와 관람객 모두가 박람회에 대한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각종 부동산과에 대한 정보 우리말로 들을 수 있었던 세미나도 유용했다.

아침부터 열린 김준영 회계사의 세미나는 많은 사람들에게 부동산 세법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뱅크 오브 캐나다(Bank of Canada) BC주 대표의 세미나를 통해서는 현재 부동산과 투자 시장에 대해 좀 더 세세하게 알아볼 수 있었다. 또한 리치 맘 엔터프라이즈(Rich Mom Enterprise) 회사의 서배너(Savannah) 씨를 통해 부동산 투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었으며 중국어로 진행된 조지 리(George Lee) 변호사와 풍수지리 전문가 애나 마크(Anna Mak)씨의 세미나도 참석한 사람들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 이상훈 전문 상업부동산 공인 중개사 역시 상가 건물의 자가 감정방법에 대해 강연하였으며각종 부동산 매물 정보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여러 중국인 회사가 참가하여 중국인들의 투자 시장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확인시켰다.

전시 참가 회사로는 웨스트스톤(Weststone)사와 플래티넘 프로퍼티(Platinum Proterty)사를 비롯한 대형 건설업체들과 캐나다 자치단체 협회인 링스BC(LinxBC), 금융투자 전문 회사와 모기지 회사, 리조트, 여행사와 운송회사까지, 말 그대로 종합 박람회의 면모를 과시하였다. 대표적인 한국 업체로는 뉴젠 그룹과 미라(Mirra Living)의 페이스 세터 마케팅(Pace Setter Marketing)사가 참가하였다.

언론의 관심도 뜨거웠다. 전통적으로 바이유사를 후원하여 온 밴쿠버 선과 프로빈스지, 시티TV(CityTV)와 옴니 텔레비전(Omni Television)을 비롯하여 이번 박람회에는 밍 파오(Ming pao) 신문사와 에포크 타임즈(Epoch Times) 신문사, 아시안 퍼시픽 포스트(Asian Pacific Post)지와 같은 아시아권 언론사와 부동산 밴쿠버, TV 코리아(TV Korea)까지 여러 미디어들이 에이팩스에 관한 내용들을 선전 및 보도하였다.

BC 부동산 종합 박람회와 에이팩스 밴쿠버를 설립 및 운영하고 있는 이상훈 대표는 “현재 밴쿠버 부동산 시장은 낮은 이자율과 중국 자금의 유입으로 매우 안정적인 상황입니다.”라고 말한 후 "상업 부동산도 2008년에 떨어졌던 부분을 거의 다 회복하였고 이는 주택 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미국 시장경기가 단기간에 향상이 어려운 만큼 이러한 상황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서 “저희 에이팩스의 목표는 한인들이 부동산과 투자 시장에 대해 가지고 있는 두려움을 없애고 보다 올바른 정보를 가지고 투자를 성공적으로 하실 수 있도록 도와 드리는 것입니다 더불어서 본 박람회를 통하여 BC 경제에 활력소가 되기를 바랍니다.” 라고 말했다.

한인들을 위한 투자 및 부동산 종합 박람회인 에이팩스, 주최측에서는 한인들의 성원에 힘입어 내년에도 에이팩스 2012을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서 바이유사는 2012년 3월 5일과 6일에 다시 한 번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BC 국제 부동산 종합 박람회를 치르기 위해 준비중에 있다.

2011년 9월 28일 수요일

루니(Loonie) 연말까지 93센트


BMO, “2012 하반기까지 지속될 수도
미국 이자율 올리면 2013 90센트까지


캐나다 달러가 2011 연말까지 미국 달러 93센트가 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BMO 글로벌 경제가 상품 가격에 계속 부담을 루니(loonie) 가치는 미국 달러로 최저 93센트가 된다는 관측 보고서를 발표했다. 캐나다 달러가 2012 하반기까지 수준에서 맴돈다고 글로브 메일도 보고서를 인용, 전했다. 캐나다 달러가 미국 달러와 균형을 맞추려면 글로벌 경제 성장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BMO 보고서는 최근 며칠간 시장 활동은 전체 유럽 대륙의 위기에 대한 해결책이 희망적이라는 긍정적 신호를 보냈지만 우리는 위기가 길지는 않더라도 2012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밝히고 있다. 비록 유럽 지도자들이 과감한 액션으로 시장을 만족 시킬 수는 있지만 글로벌 성장세가 빠르게 반등하지는 않을 같다. 점이 바로 상품 가격과 루니에 부담을 준다. 사실 유럽 경제국가들은 긴축 조치와 최소 향후 년간 경제 재건 때문에 지장을 받을 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캐나다 달러가 28 오전 거래 42센트 떨어진 미국 달러 97.66 센트에 거래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특히 최근 변화가 잦았던 캐나다 달러는 지난주에도 미국 달러 대비 5센트가 빠졌다는 .  
자동차 제조회사와 제조업체, 캐나다 수출업자와 노동자들에게는 루니가 약할수록 장점이 있다. 바로 캐나다 일자리 시장을 유지하는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루니의 약세는 슈퍼마켓에서 구입하는 수입 상품 가격이나 국제 여행 패키지 가격의 단발적 상승을 의미한다. 
특히 BMO 2012 하반기까지 루니가 미국 달러 95.2센트에 머물지는 않는다고 전망했다. 여기엔 글로벌 경제가 개선된다는 조건이 있다. 보고서는 글로벌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것은 캐나다 달러에 힘을 보태 2012년까지 균형 유지에 도움을 준다 밝혔다. 캐나다 중앙은행이 연방준비은행보다 앞서 이자율을 올린다면 루니가 상승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미국이 2013 하반기 이자율을 먼저 올리기 시작하면 루니는 다시 약해져 장기적으로 가치는 미국 달러화로 95.2~90.9센트 수준에 머문다고 분석했다

코퀴틀람 시유지 추가 매물로


10월 24일 조닝 변경 공청회


코퀴틀람 시가 시유지를 추가로 시장에 내놓았다.

시 의회는 최근 고밀도 사용에 따른 지구 (1188 Pinetree Way) 재지정을 위한 첫 리딩(Reading)을 실시했다고 트라이시티뉴스가 전했다. 이곳 0.3헥타르 대지는 현재 빈터로 남아 있지만 향후 타운센터(Town Centre)까지 연결되는 에버그린 라인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남북쪽으로는 글렌 드라이브(Glen Drive)의 크레시스 M-투 하이라이즈 프로젝트와 코퀴틀람 센터 몰에 가까운 주거용 빌딩인 프런테낙(Frontenac)이 위치해 있다. 조닝 변경에 대한 주민 공청회는 오는 10월 24일로 예정돼 있다. 

시도 최근 일부 대지를 매매 리스트에 올렸다. 9월초 시의회는 이곳(2150 Como Lake Ave.) 도로 취소에 대한 마지막 리딩(Reading)을 승인했다. 바로 힐크레스트 중학교 옆이다. 인근 시유지와 통합하기 위한 것. 버크 마운틴에서는 시가 주변 30에이커를 모아 한 블록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2월 시 의회는 이 지역(1112 Westwood st.)의 조닝을 변경, 향후 복합 고밀도 지역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빈 터인 이곳 2.79에이커는 링컨 및 앤손 애뷰뉴 사이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인근 지역(1123 Westwood st.) 1.2에이커에 대한 입찰은 마감된 상태다. 이곳은 링컨 애브뉴 남쪽에 위치, 고밀도 개발 예정 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특히 이 신문은 올해 시가 버크 마운틴에 위치한 12개 단독주택용 부지(3400 block of Gislason Ave.)를 판매한다고 전했다.

이밖에 불러바드 카지노에 위치할 11층짜리 호텔과 컨벤션 센터 건축 제안서는 오는 10월 24일 공청회 안건으로 논의된다. 시의회는 이 지역에 객실 181개 호텔을 건축하려는 조례 수정에 대한 첫 리딩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승인된다면 300개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PoCo 사업체에 구리 도둑 ‘극성’

포트 코퀴틀람 소재 소기업에 구리 도난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쿠팔 크라이밍 크레인의 공동 소유주인 개리 레미 쿠팔 씨는 지난 6월부터 구리 도둑을 당해, 경찰에 신고했다고 트라이시티뉴스가 전했다. 경찰에 보고된 것만 6건이다. 회사 23 크레인 가운데 5건이 가동할 없을 정도가 됐다. 도둑들이 복잡하게 꼬여 있는 와이어를 풀어 구리를 훔쳐 가는 과정에서 크게 손상을 입었기 때문이다.
개리 쿠팔 씨는 정말 너무 실망스러워 믿을 없을 정도다. 도둑들이 절대 잡힐 같지 않다는 느낌마저 든다 심정을 토로했다. 그는 만약에 도둑이 잡히면 내일은 우리 사업 모두를 훔쳐갈 같다 덧붙였다.
한편 도난에 따른 피해가 심각해 현재 소유주인 개리 쿠팔씨와 직원이 번갈아 불침번을 서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