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예산 적자 단계적 감소
2011-2012 주 수입 3.6%
BC주 경제가 올해 GDP기준 3% 정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BMO은행 캐피털 마켓은 6월 발간된 블루 북(Blue Book)을 통해 BC주의 2011년 경제 전망치를 발표했다. 지난 2010년 국내총생산(GDP) 4% 수준 강세였던 경제가 다소 주춤한다는 것. 주거용 건축 열기가 식고 임업분야 미국 수출도 둔화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주 전체 경제는 오는 2012년까지 3% 이상 성장률을 기록한다. 아시아 지역 수출 수요가 크고 에너지 분야 투자가 여전히 강하기 때문이다. 2010년 상반기 경기 둔화 이후 활발해진 주택 경기가 2011년 1/4분기에도 이어졌다. 여기에는 저금리 기조가 큰 몫을 차지했다. 특히 밴쿠버 평균 주택 가격은 4월 기준 80만 달러로 기록적 수준을 보였다. 지난 3월 18일 실시된 모기지보험 규정과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전망에 주택 매매 열기는 향후 완화될 전망이다. 따라서 신규 착공 주택 물량도 연간 2만 4300건이었던 수준에서 올해는(1~4월) 조금 떨어지고 있다. 즉 2010년과 달리 주택 건축이 2011년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지 않게 된다.
남부 경계 지역에서는 건축 활동이 침체돼 있다. 최근 몇 개월간 주택 건축이 지난 1960년대 수준 최저 활동량을 보여주고 있다. 올 하반기에도 나아질 기미가 없어 임업 수출업자들도 힘들 전망이다. 하지만 임업 분야는 아시아쪽 수요 증가로 혜택을 보고 있다. 수출도 1/4분기 전년대비 19% 증가했다. 일본 대지진 피해복구 노력에 따라 이 분야는 더욱 살아나게 된다. 지난 2010년에는 거의 40%에 육박하는 BC주 수출 물량이 아시아를 향했다. 14%는 일본으로 수출, 목제품이 일본 전체 수출 물량의 25%를 차지하기도 했다.
다음은 장기 성장 전략의 핵심인 상품분야 투자. 에너지 분야 활동이 다소 수그러들었다. 탐사 부지 거래가 2011년을 기준으로 할 때 지난 20년래 최저 수준을 보여준다. 부분적으로 과거 알버타 지역에 대해 증가했던 충실도가 역전되면서 생긴 현상. 또 주 에너지 분야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여전히 위축돼 있는 천연가스 가격도 여기에 한 몫을 하고 있다.
BC주 정부 적자폭은 2011-2012년 회계연도 9억 2500만 달러로 예상됐다. 이 수치는 2010-2011년 회계연도에 기록한 12억 7000만 달러보다는 3억 4000만 달러가 개선된 것. 또 2013-2014년 회계연도까지 부채를 탕감하겠다는 목표로 향후 3년간 매년 3억 5000만 달러씩 적자를 줄이겠다는 목표다. 따라서 예상보다 주 예산이 일찍 균형을 이룰 것으로 관측됐다.
주 전체 수입은 3.6%가 올라 2011-2012년 회계연도에 413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경제회복에 따라 개인 수입과 HST 시행으로 세금 수입이 4.7% 상승하게 된다. 전체 예산 지출은 2.2% 증가한 419억 달러로 관측됐다. 지출은 향후 3년간 2% 수준에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관련, 데럴 모리야마 부사장은 "우리는 올림픽 이후 발생하고 있는 좋은 징소들을 목격하고 있다"며 "올림픽 전 실시된 사회간접자본 건축으로 비록 후유증도 있었지만 점점 사그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부동산 시장과 관련, 그는 밴쿠버 지역은 주거용과 상업용 두 분야에서 모두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이 리스 대신 자신들의 건물 소유에 더욱 관심을 보이는 추세 때문이라는 것. 부유한 아시아계 구매자들의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는 안정된 캐나다 경제와 교육 시스템 간편한 여행 등이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앞으로도 대규모 인구 유입이 계속될 전망이다. 그는 인구 증가가 밴쿠버 시장을 더욱 강하게 만드는 성장 원동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농업분야에서는 프레이저밸리가 여전히 육류와 낙농업 분야에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소매 분야는 HST도입과 경기 침체로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매업자들도 비용 절감과 인력 감소에 의지해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 제조업체도 비용 절감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캐나다 달러 강세에 힘입어 기업 확장과 현대화에 더욱 열을 올리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